메뉴 건너뛰기

SPOT 논술면접 S+

수시논술


  
◐ 서강대학교 2005학년도 수시1학기 영어혼합형 논술 문제 ◑


<인문사회계열>


[A]


A basic principle applicable to all scientific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and medical science, states that correlation does not necessarily imply causation. That movement of one variable is linked to another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one variable causes the other.

Suppose, for example, you notice that wherever criminal activity abounds, more police patrol the street. Should you conclude from this evidence that police patrols cause criminal activity and recommend pulling police off the street to lower the crime rate? The answer is clearly no, because police patrols do not cause criminal activity; criminal activity causes police patrols. This situation is called reverse causation and can produce misleading conclusions when we interpret correlations.

A Russian folk tale also illustrates the problems that can arise from reverse causation. As the story goes, there once was a severe epidemic in the Russian countryside and many doctors were sent to the towns where the epidemic was at its worst. The peasants in the towns noticed that wherever doctors went, many people were dying. So to reduce the death rate, they killed all the doctors. Were the peasants better off? Definitely not.

Another facet of the correlation-causation question is that an outside factor, yet unknown, could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wo variables that move together. Coffee drinking might be associated with heart disease not because coffee drinking causes heart attack but because coffee drinkers tend to be people who are under a lot of stress and the stress causes heart attack. Getting people to stop drinking coffee, then, would not lower the incidence of heart disease. Similarly, if there is an unknown outside factor that causes the stock of money and national income to move together, controlling the money supply will not help control the level of national income.



[B]


아직 완전한 체계를 정립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은 보통 사람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회과학의 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경제논리는 가끔 왜곡되곤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류는 동일한 현상에 대해서도 일치된 견해를 보이지 않는 경제학자들에 의해서 생겨난다기보다는, 경제논리를 막연하게 현실에 적용하는 데서 기인한다.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경제논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형태를 띠고 있다.

오용된 경제논리의 첫 번째 구체적인 모습은 금리인상 정책이 인기없는 정책으로 받아 들여지는 경우이다. 이는 경제정책의 효과를 평가할 때 동전의 양면을 두루 살피지 않고 특정한 한 면만을 의도적으로 강조하기 때문이다. 금리인상은 한편으로 채무자에게는 부담이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저축자에게는 희소식이다.

둘째로, 수입관세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정책의 유리한 측면만을 부각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관세의 부과는 수출관련 산업생산자에게는 유리하지만, 일반소비자에게는 불리하다는 균형잡힌 시각이 뒷전으로 밀리는 경우가 생겨난다.

잘못 사용된 경제논리의 또 다른 유형은 원인과 결과의 혼동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착각의 예는 물가의 불안정이 경제정책의 실패에 기인함을 인식하지 못한 채, 자금시장의 투기자만을 탓하는 정책집행자의 단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금시장의 투기자들이 정책집행자에게 현행 경제정책을 변경해야 한다는 암시를 종종 전해 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인과 결과의 혼동에 기인하는 경제논리의 오용은 평화의 사자(使者)를 죽이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과 같다고 할 만하다.

몇 년 전 우리나라에서는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되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 조기유학에 따른 외화의 송금을 금지하겠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었다. 이러한 정책은 근본원인을 비켜간 인과의 오류를 반영하는 예라 할 수 있겠다.




<문항1> 제시문 [A]의 밑줄 친 부분을 서술(직역)하시오(300자 이내). [40%]


<문항2> 제시문 [A]의 전체 내용을 요약하시오(400자 이내). [30%]


<문항3> 제시문 [A]와 제시문 [B]의 내용을 토대로 본인의 견해를 논술하시오(500자 이내). [30%]


<자연계열>




[A]


In computer network, data are transmitted in a unit so called "packet." At each node, the packet is received, stored briefly, and passed on to the next node. One important design issue is the packet size to be used in the network. If a source has a long message to send, the message is broken up into a series of packets. Each packet contains a portion of the user's data plus some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at a minimum, includes the information that the network requires in order to be able to route the packet through the network and deliver it to the intended destination.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cket size and transmission time.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virtual path from station A through nodes B and C to station D. The message to be sent comprises 30 bytes and each packet contains 3 bytes of control information, which is placed at the beginning of each packet and is referred to as a "header". If the entire message is sent as a single packet of 33 bytes (3 bytes of header plus 30 bytes of data), then the packet is first transmitted from station A to node B. When the entire packet is received, it can then be transmitted from B to C. The total transmission time at station D is 99 byte-times (33 bytes * 3 packet transmissions).

Suppose now that we break up the message into two packets, each containing 15 bytes of the message and, of course, 3 bytes each of header or control information. In this case, node B can begin transmitting the first packet as soon as it has arrived from A, without waiting for the second packet. Because of the overlap in transmission, the total transmission time drops to 72 byte-tim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 2006학년도 고려대학교 수시1 고연옥 2005.08.15 157
40 서울대 2002년 정시 심층면접 홍삼영 2005.06.25 149
39 서울대 2002년 정시 심층면접 홍삼영 2005.06.25 175
38 고려대 2002년 수시2학기 논술고사 - 학교장 추천전형(계열공통) [1] 홍삼영 2005.06.25 152
37 고려대 2002년 수시2학기 논술고사 - 학교장 추천전형(계열공통) [1] 홍삼영 2005.06.25 203
36 동국대학교 수시1-2005 홍삼영 2005.05.26 169
35 동국대학교 수시1-2005 홍삼영 2005.05.26 237
» ◐ 서강대학교 2005학년도 수시1학기 영어혼합형 논술 문제 ◑ 홍삼영 2005.05.26 171
33 ◐ 서강대학교 2005학년도 수시1학기 영어혼합형 논술 문제 ◑ 홍삼영 2005.05.26 188
32 한국외국어대학교[외대프런티어I]수시1-2005 홍삼영 2005.05.26 212
31 한국외국어대학교[외대프런티어I]수시1-2005 홍삼영 2005.05.26 191
30 성균관대_2005_수시1_논술(자연) News수민 2004.12.13 149
29 성균관대_2005_수시1_논술(자연) News수민 2004.12.13 152
28 성균관대_2005_수시1_논술(인문) News수민 2004.12.13 156
27 성균관대_2005_수시1_논술(인문) News수민 2004.12.13 157
26 고려대2005수시1논술문제와해설+고려대2005수시2학기인문계문제 News수민 2004.12.13 152
25 고려대2005수시1논술문제와해설+고려대2005수시2학기인문계문제 News수민 2004.12.13 151
24 입시환경변화에 따라 정시모집 논술·면접 확대될 듯 News수민 2004.10.29 143
23 입시환경변화에 따라 정시모집 논술·면접 확대될 듯 News수민 2004.10.29 143
22 수시모집 논술고사 분석 결과 - 전국 영어교사모임. News수민 2004.10.13 147
위로